본문 바로가기
부전공/조직행위론

개인차: 성격

by sepang 2022. 10. 16.

성격의 개념

성격

  성격이란 개인이 외부 세계에 반응하고 그것과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방식의 총체이다. 그리고 성격 특성 용어가 있는데 이는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개인의 특정 행동 패턴이다. 5가지 요소가 있는데 요소가 일관성 있고 빈번하게 나타날수록 강한 성격 특성이라고 본다.

  이러한 성격을 측정하는 방법은 MBTI Big Five Model 있다.

MBTI

  MBTI는 4가지 성격 특성을 조합하여 사람의 성격을 16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성격 검사법이다.

fig 1

외향(E) – 내향(I)

외향형은 외부세게를 향하여 에너지를 사용(폭넓은 대인관계, 적극적, …)하고 내향형은 내부 세계를 향하여 에너지를 사용(깊이있는 대인관계, 집중력, …)한다.

감각(S) – 직관(N)

감각형은 오감을 통해 현실을 인식하므로 현재에 초점을 맞추며 사실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반면 직관형은 직관을 사용하여 눈에 보이는 현상 너머의 의미를 통찰하기에 비유적이고 암시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사고(T) – 감정(F)

사고형은 논리와 사실, 원칙에 의거하여 판단하기 때문에 사실에 초점을 맞추며 논리적인 판단을 하는 반면, 감정형은 개인적, 사회적 가치에 의거하여 판단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 관계에 관심을 가지며 상황적이고 포괄적인 판단을 한다.

판단(J) – 인식(P)

판단형은 외부 세계에 대해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접근한다. 그래서 빠르게 판단하여 신속히 종결하고자 하는 경향을 가지며 분명한 목적성과 방향성을 가진다. 인식형은 외부세계에 대해 개방적, 즉흥적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가능성을 열어두고 상황에 따라 융퉁성 있게 접근하려는 경향이 있다.

Mbti의 단점

  하지만 mbti 신뢰도의 문제, 타당도의 문제, 성격 유형론의 문제 인해 대중에게는 널리 사용되지만 학계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Big 5 model(성격의 5요인 이론)

5요인 이론

  개의 범주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으로 가장 넓은 범위의 성격을 설명할 있을까? 심리학에서는 경험적인 조사와 연구를 통해 성격 특성의 요소로 5가지를 뽑았다.

Openness to experience(개방성)

  새로운 것에 대한 관심과 흥미 정도이다. 높은 개방성을 가지면 호기심, 창의적, 추상적이며 사색을 즐기며 예술적 감수성이 풍부하다. 반면 낮은 개방성은 보수적이고 전통적이며 익숙 환경에서 편안함을 느낀다.

Conscientiousness(성실성)

  높은 성실성을 가지면 책임감있고 근면하다. 그리고 목표중심적이며 효율성을 따진다. 반면 낮은 성실성을 가지면 산만하고 무계획적이다. 그렇기에 부주의하고 충동적이게 된다.

Extroversion(외향성)

  외향성이 높을수록 사람들이 많은 관계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정도가 것이다. 그러므로 높은 외향성을 가진다는 것은 수다스럽고 에너지가 넘치며 사교적이고 자기주장이 강하다. 반면 낮은 외향성을 가지면 수줍어하고 소심해하며 조용하다.

Agreeableness(동조성/친절성)

 타인에게 양보하고 순응하는 경향이다. 높은 동조성을 가지면 협력적이고 사심이 없으며 친절하고 남을 믿는다. 반면 낮은 동조성을 가지면 차갑고 까다로우며 비판적이기 때문에 가혹하고 퉁명스럽다.

Neuroticism: 신경성 emotional stability: 감정 안정성

  스트레스에 견디는 개인의 능력이다. 높은 신경성을 가지면 신경질적이며 걱정이 많아 불안해하고 쉽게 동요된다. 반면 낮은 신경성을 가지면 침착하고 온화하며 자신감이 있기에 감정적으로 안정되어 있다.

성격 특성과 직무 관련 행동

  확인해봤으면 알겠지만 5가지의 요인들은 높을 수록 업무에 적합할 것이다.(상황에 따라 다를 있긴 ). 각 이유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ig 2

 

통제범위 성향

  통제범위 성향이라는 것은 내적 통제성향, 외적 통제성향으로 나뉜다. 전자는 자신의 앞길이나 운명을 (내부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정도를 말한다. 외적 통제성향은 자신의 앞길이 우연이나 외부적 영향에 따라 결정된다고 한다. 서로의 장단점은 반대이니 내적 통제 성향의 장단점을 살펴보자.

fig 3


참고자료

  • George, M. J. & Jones, G. R. (2012), Understanding and Managing Organizational Behavior (6th Edition), Pearson Education Co. (한글판 제목: “조직행동론”)
  • HBP case study: “Teamwork Turnmoil”, “Thomas Green"
  • Robbins, S. P. & Judge, T. A. (2015), 조직행동론, 한티미디어.

'부전공 > 조직행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각과 귀인  (0) 2022.10.17
정서  (0) 2022.10.16
개인차: 가치  (1) 2022.10.14
개인차: 태도  (1) 2022.10.14
Intro  (0) 2022.10.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