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전공/조직행위론

지각과 귀인

by sepang 2022. 10. 17.

지각 과정의 이해

지각과 인지

fig 1. 사람의 인지 과정

  우선 인지에 대한 정의는 '생각, 경험 및 감각을 통해 지식과 이해를 습득하는 정신적 행동 또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인식, 기억, 추론, 판단 등이 있다.

  그리고 지각은 개인이 주변 환경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감각적으로(=주관적으로) 느끼는 인상들을  선택-조직-해석하는 과정이다. 즉 사람들의 행동은 현실 그 자체가 아니라 현실이 무엇인지에 대한 지각을 기반으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지각이 조직행위론에서 중요한 것이다.

fig 2

  그럼 왜 지각된 현실과 실제 현실이 서로 불일치할까? 이는 인지적 자원이 제한(선택적 주의)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람은 지각할 때 fig 2와 같은 요소를 모두 포함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 현실과 일치할 수 없는 것이다.

 

사회지각의 오류

  사회지각(사회인지)는 개인이 타인의 감정, 태도, 욕구, 성격과 같은 사회적 요소를 지각하는 일이다. 이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오류들을 살펴보자

후광효과

  후광효과는 사람의 여려가지 (개인적인)특성 중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특성 일부로 인해 전체 판단이 한쪽으로 편향 되는 것이다. 한번 미운털이 박히면 이후로는 어떤 짓을 해도 밉게 보이는 경우가 예시가 되겠다.

대조효과

  대조효과는 같은 내용이라도 비교대상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는 것이다. 공부 잘한다는 소리를 듣는 전교 1등이 명문대에선 흔한 것 처럼 말이다.

초두효과

fig 3

초두효과는 처음에 들어온 정보가 더 큰 영향을 끼치는 현상이고, 최근효과는 최근에 들어온 정보가 더 큰 영향을 끼치는 현상이다. 보통 발표를 하면 첫 순서와 마지막 순서의 내용이 더 잘 기억나는 것이 예시가 될 수 있겠다.

고정관념

  고정관념은 사람이 속한 (사회적) 집단의 특성이 지각의 근거가 되는 것이다. 후광효과랑 혼동할 수 있는데, 고정관념은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고 어떤 집단/개인을 전형적인 특성으로 범주화하는 것이다.

내집단 선호

  내집단 선호는 '우리'라고 평가하는 내집단 이외의 사람들에게 종종 불쾌감이나 경쟁심을 드러내면서 배쳑하는 경향이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을 통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정의하여 긍정적인 자아상을 유지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자성적 예언(피그말리온 효과)

  자성적 예언은 사람들에 대한 잘못된 기대가 그들의 행위에 영향을 주어 결국 그 기대가 현실화되는 것이다. 어떤 실험에서 학생들을 무작위로 뽑은 뒤에 교사에게 학업성취도가 높은 그룹이라고 말을 하였고, 몇 개월 후 지능검사를 했는데 해당 그룹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왔다. 즉 교사의 기대와 격려가 중요한 요인이 된것이다.

귀인 오류

  일반적으로 원인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결과가 발생하는 것인데 원인을 결과에서 찾는 것을 귀인 오류라고 한다. 귀인은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행위자의 특성에서 원인을 찾는 내부 귀인이고, 다른 하나는 주변의 환경에서 원인을 찾는 외부 귀인이다.

  보통 남의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서는 '쟤는 성격이 ~하니깐', '~행동을 했으니깐' 등의 이유를 들면서 내부 귀인을 통해 원인을 찾는데 이를 근본적 귀인 오류라고 한다. 그리고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는 '상황이 ~했으니깐' 등의 이유를 들면서 외부 귀인을 통해 원인을 찾으려 하고, 긍정적 결과는 '내가 ~했기 때문에'라는 이유를 들며 내부 귀인을 통해 원인을 찾으려고 한다. 이를 자기보호 오류라고 한다.


참고자료

  • George, M. J. & Jones, G. R. (2012), Understanding and Managing Organizational Behavior (6th Edition), Pearson Education Co. (한글판 제목: “조직행동론”)
  • HBP case study: “Teamwork Turnmoil”, “Thomas Green"
  • Robbins, S. P. & Judge, T. A. (2015), 조직행동론, 한티미디어.

'부전공 > 조직행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  (0) 2022.10.17
개인의 의사결정  (0) 2022.10.17
정서  (0) 2022.10.16
개인차: 성격  (0) 2022.10.16
개인차: 가치  (1) 2022.10.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