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전공29

조직변화 관리 조직변화의 원인과 주체 조직은 늘 변화한다. 조직은 open system이기 때문에 fig 1처럼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직변화는 다양한 모습으로 이루어진다. 조직혁신, 조직개편, 구조조정 인수합병 새로운 제도 도입(성과급제, 임금피크제 등) 새로운 업무 프로세스 도입 인적 변화 ... 조직변화의 주체 조직변화는 변화를 하려는 세력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변화에 저항하는 세력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조직변화를 위해서는 변화력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저항력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 변화에 대한 저항 개인 수준 불확실성과 불안정성 개인의 이해관계 선택적 지각과 보유 습관 집단 수준 집단 규준 집단 응집성과 집단 사고 몰입의 심화 조직 수준 권력과 갈등 기능부서의 '터널 .. 2022. 12. 22.
조직구조 조직구조와 설계 조직구조는 종업원들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원을 사용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과업과 업무보고 관계에 관련된 공식 시스템이다. 조직설계는 조직구조를 구성하는 과업과 업무 보고관계를 어떻게 배열하는가와 관련되어 구체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이다. 조직도의 구성 조직도는 조직의 보고 체계(누가 누구에게 업무보고를 하는가)와 서로 다른 (집단의) 사람들이 어떠한 활동을 하고 있는가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조직 구조는 3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복잡성: 과업의 전문화, 부문화 정도. 계층의 세분화 정도 공식성: 각종제도, 규정의 제정 정도. 업무메뉴열, 직무기술서/명세서 구비 집중성: 권한의 집중화 정도. 조직의사결정에서 하위구성원이 참여하고 있는 정도 조직구조의 차별화.. 2022. 12. 22.
조직문화 조직문화의 개념과 구성요소 조직문화란 개인과 집단, 그리고 조직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주는 공유된 가치와 규범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리하면 조직원들이 서로에게, 그리고 외부의 사람들에 대하여 행동하고 생각하고 느끼는 방식에 영향을 주는 조직원들이 공유하는 일련의 가치, 신념, 규범이다.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3수준 이론 인공물 물리적인 수준의, 듣고 보고 느끼고 만질 수 있는 조직문화이다. 조직의 특성이 매우 분명히 드러나는 인공물 혹은 조직원들의 행동인데 왜 구성원들이 그렇게 행동하고, 왜 조직은 그렇게 구성되어 있는지 등의 숨은 의미는 드러나지 않는다. 옹호된 가치 그들이 하는 일을 왜 하는지 설명하는 조직의 가치 체계이다. 교육용 자료, 웹사이트, 결재문서, 팜플렛 등 문서자료의 형태로 종종 나타.. 2022. 12. 22.
갈등/협상, 권력/정치 갈등 갈등은 한 사람이 자신이 소중히 여기는 어떤 것에 대해 다른 사람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거나 미칠 것이라고 인식할 때 시작되는 과정이다. Pondy는 갈등의 5가지 단계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잠재된 갈등 인지된 갈등 느껴진 갈등 분명한 갈등 갈등의 결과 갈등의 원인 갈등은 개인적, 업무상, 조직상의 요인들이 원인이 된다. 갈등의 유형 과업 갈등: 일의 내용, 목표, 방식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갈등 관계 갈등: 인간관계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감정적 갈등 과업갈등의 경우에는 꼭 나쁘다고 볼 수는 없다. 갈등을 겪으면서 팀 의사결정의 수준을 높이기 때문이다. 반면 관계갈등은 갈등이 심화될수록 팀 성과에도 점점 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현실은 이렇게 단순하게 동작하지는 않을 것이기에 좀 더.. 2022.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