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ring2

[Spring Boot, Spring Security, Data JPA] 로그인/로그아웃 2 이번에는 reissue와 로그아웃을 기능을 구현해볼 차례이다. 저번 글에서 확인해서 알겠지만 refresh token을 관계형 DB에 저장하지 않고 redis라는 인메모리 비관계형 DB에 저장했다. 아무래도 reissue 요청이나 로그아웃 요청은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성능적으로도 유리한 것도 있지만, 사실 프로젝트 수준에서 이는 크게 체감되지 않았고 오히려 데이터 저장 시간을 간단히 설정할 수 있다는 점이 유용하다고 생각했다. 어쨌든 이 글에서는 reissue, logout 기능을 어떤 식으로 구현했는지 살펴보자. Reissue access token의 유효기간은 5분정도로 설정해놓았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에서 유효기간 만료 몇 초전에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을 body에 담아 .. 2022. 9. 18.
[Spring, Data JPA] 회원가입 이전까지는 혼자서 간단한 수준의 프로젝트를 따라만 했었다. 이제는 직접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구현해봐야 겠다고 생각했고, 다행이 기회가 되어 학교에서 지원금을 받고 진행하는 프로젝트 과목에 팀을 꾸려서 참여하게 되었다. 나는 백엔드 역할을 담당한다. spring boot, jpa(spring data jpa)를 통해 서버를 구축하고 아마존 EC2/RDS를 통해 직접 배포하고 운영까지 짧게 해볼 생각이다.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대학 상권 가게들의 할인 이벤트 등을 지도 api에 시각화, 그리고 가게별 제휴 이벤트 구성을 위한 게시판 및 채팅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7월부터 스프링 공부를 시작하고 프로젝트를 조금씩 진행하였지만 게으름 때문에 이제야 처음부터 조금씩 개발기록들을 써내려.. 2022. 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