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전공/회계학원론13

자본 여태까지 회계의 과정에 대해 배우고 재무상태표를 구성하는 자산, 부채와 관련된 회계처리들을 자세히 알아보았다. 이제 자본을 마지막으로 이번 학기에 배운 회계학원론 과목이 마무리된다. 자본과 지분 우선 자본은 자산의 조달원천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이 말은 자산이 타인자본(부채), 자기자본(자본)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이제는 익숙한 '자산=자본+부채'). 자본을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이라 해서 순자산이라고도 하니 자본, 자기자본, 순자산은 동일한 대상이고 '자산-부채'를 지칭한다. 지분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 궁극적으로 누구의 몫이냐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그러므로 이 측면에서는 '자산 = 채권자지분 + 소유주(주주) 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회계에서는 채권자 지분을 부채, 소유주(주.. 2022. 6. 16.
부채 개념과 분류 부채란 기업이 과거에 진 빚에 대해 현재 갚아야 할 의무를 뜻한다. 이러한 부채는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분류할 수 있다. 유동부채: 재무상태표일로부터 1년 또는 정상영업주기 이내에 갚아야 할 부채(단기금융부채, 매입채무, 미지급비용, 선수수익) 비유동부채: 유동부채로 분류되지 않은 모든 부채(장기금융부채, 장기충당부채, 기타비유동부채) 유동부채의 각각의 예시들은 이전에 다뤄봤으니 오늘은 비유동부채에 대해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자. 장기금융부채 장기금융부채는 부채 원금의 상환기간이 재무상태표일로부터 1년 후에 도래하는 금융부채이다. 우리가 전 글에서는 금융자산에 대해 다뤄봤는데 오늘 다루는 금융부채는 이에 반대되는 개념이다. 즉 금융부채는 거래상대방에게 현금 등 금융자산을 지급할 계약상의 의무.. 2022. 6. 9.
장기금융자산 자산은 크게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분류되었다. 유동자산은 단기간(12개월 이내)에 현금화될 수 있는 자산(현금성및현금성자산, 매출채권, 재고자산, ...)이고 비유동자산은 장기간 사용될 자산(유형자산, 무형자산, 장기금융자산, ...)이다. 그리고 금융자산은 실물자산(유형자산, 재고자산)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현금 및 기타현금성자산, 다른 기업의 지분이나 채권 등을 말한다. 이때 금융자산 중에서도 예상보유기간이 1년을 초과하는 경우 오늘 다룰 장기금융자산으로 분류된다. 단기금융자산의 경우에는 여기서 다뤘었다. 장기금융자산에는 타 기업 지분증권, 채무증권에 대한 투자주식이나 투자채권, 금융기관이 취급하는 장기금융상품에의 투자 등이 포함되는데 이 글에서는 투자주식과 투자채권에 대해 다룰 것이다. 분류 투자.. 2022. 6. 2.
유형자산과 무형자산 이 글에서는 유형자산과 무형자산과 관련된 회계처리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유형자산 회계의 개요 유형자산은 기업이 한 회계기간을 초과하여 영업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물리적 실체를 가진 자산이다. 예를 들어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선박 등이 있다. 이러한 유형자산과 관련된 단계별 회계처리는 다음과 같다. 각 사항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자. 취득시점에서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를 결정하는 문제 사용기간 동안의 감가상각비를 결정하는 문제와 유지, 보수, 개량 등과 관련하여 이를 자산의 취득원가에 산입할 것인지 당기의 비용으로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 유형자산의 처분과 관련된 회계처리 유형자산의 취득원가 결정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는 유형자산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필요한 장소에 설치하는데 소요된 .. 2022.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