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전공/조직행위론

개인차: 태도

by sepang 2022. 10. 14.

  조직행위론의 가장 작은 분석 단위인 개인에 대한 내용부터 알아보자. 이 글에서는 태도에 대해 다룬다.

태도의 개념

태도의 정의

사물, 사람 사건, 개념 등에 대한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상대적으로 오래 지속되는 평가적 진술

태도의 구성 요소

fig 1

  태도는 fig 1과 같이 3개의 요소로 나눌 수 있다.

  • 인지적 요소: 특정대상에 대한 신념이나 사고지각
  • 감정적 요소: 특정대상/사건에 대해 느끼는 감정의 다양한 수준. 그 강도가 다양함
  • 행동적 요소: 특정대상에 대해 행동하려는 경향

  그리고 위의 3요소는 일반적으로 상호연관 되지만 반드시는 아니고 심지어 무관할 수도 있다. 별 이유도 없이 싫거나 좋은 사람이 있는 경우가 예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태도가 조직행위론에서 중요한 이유는 바람직한 태도는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하며 조직의 성과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물론 태도가 항상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태도와 행동

  여기서는 태도와 행동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자.

인지부조화 이론

사람은 인지적 체계 내의 여러 요소들 간에 일관성이 있다고 느끼고 싶어하는 본능이 있다.

  즉 사람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가치관, 지식과 반대되는 정보를 접했을 때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완화하기 위해 불일치하는 대상을 일관성있게 바꾸려고 한다.

  그리고 이미 일어난 행위로 인해 인지부조화가 발생할 경우, 과거의 행위는 바꿀 수 없기 때문에 해당 행위와 관련된 자신의 생각을 바꾸려고 한다. '여우와 신포도'가 대표적인 예시다 여우가 포도를 먹을 수 없으니 포도가 시다고 포기하는 행동을 보여준다. 즉 포도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것이다.

fig 2

  인지부조화 이론은 자신이 갖고 있는 태도와 외부로 드러나는 행동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이다. 일반적으로 태도를 행동과 일치하도록 바꾸기 때문에 태도를 통해 행동을, 행동을 통해 태도를 예측할 수 있다.

 

여러가지 직무태도

  조직행위론에서 다루는 태도는 3가지 유형이 있다.

  • 직무만족: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가
  • 직무몰입: 그 일에 대해 얼마나 애정을 느끼고 빠져 있는가
  • 조직몰입: 일보다는 회사 등의 조직에 대한 애정

 

직무만족과 직무불만족

fig 3

  이번에는 직무만족도와 관련된 허츠버그의 2요인 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기존 전통적인 직무만족도의 개념은 '만족과 불만족이 같은 선상에 있다'였다. 즉 직무에 대해서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만족하거나 불만족하거나 둘 중 하나라고 여겼다. 반면 허츠버그의 2요인 이론에서는 직무만족과 직무불만족을 따로 다뤄야한다는 내용이다.

  2요인 이론에서는 직무만족 요인을 동기부여요인이라고 하고, 직무불만족 요인을 위생요인이라고 한다. 동기부여요인은 성취감, 안정감, 책임감 등 일 자체가 주는 보람, 만족감과 관련된 요인이다. 반면 위생요인은 상사관계, 급여, 회사 방침 등 일에 대한 물리적/외적 조건들과 관련된 요인이다. 즉 위생요인을 만족하면 직무불만족은 개선이 되겠지만 직무만족에 큰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직무만족에 효과

fig 4

  직무만족에 따른 효과는 fig 4를 보면 알겠지만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성과와 조직시민행동이 증가하고, 이직률과 결근률은 줄어든다. 여기서 조직시민행동이란 의무적이지도 않고 보상도 없지만 자신이 속한 조직의 발전을 위해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부차적 행동이다.

직무불만족에 대한 반응

fig 5

  직무불만족에 대한 반응은 fig 5처럼 4가지가 있을 수 있다. 상황에 따라 다른 반응을 보일 수 있다.

의견제시행동

  fig 5에서 가장 긍정적인 반응은 의견제시로 보인다. 의견제시행동이란 조직이나 작업단위의 업무수행을 개선하려는 의도로 일과 관련된 아이디어나 의견, 정보 등을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자발적 행위이다. 하지만 이는 본인이 능동적이고, 조직이 건설적인 경우에 자주 발생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회적 비용, 효과에 대한 불신 등에 대한 이유로 의견제시행동을 잘 하지 않는다.


참고자료

  • George, M. J. & Jones, G. R. (2012), Understanding and Managing Organizational Behavior (6th Edition), Pearson Education Co. (한글판 제목: “조직행동론”)
  • HBP case study: “Teamwork Turnmoil”, “Thomas Green"
  • Robbins, S. P. & Judge, T. A. (2015), 조직행동론, 한티미디어.

'부전공 > 조직행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각과 귀인  (0) 2022.10.17
정서  (0) 2022.10.16
개인차: 성격  (0) 2022.10.16
개인차: 가치  (1) 2022.10.14
Intro  (0) 2022.10.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