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전공/조직행위론

개인차: 가치

by sepang 2022. 10. 14.

가치의 개념과 중요성

가치

  가치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혹은 삶에서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가에 대한 개인의 신념이다. 또한 가치는 가치 체계를 가지는데 이는 중요성에 따라 매긴 가치의 순위이고 상대적으로 일관성있게 유지된다.

가치의 종류

  가치의 종류는 본래적 가치/도구적 가치나 물질적 가치/정신적 가치로 2개의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가치의 중요성

  • 태도, 동기부여,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
  • 주변 세상에 대한 우리의 지각에 영향을 준다.
  • 옳고 그름에 대한 해석을 제공한다.
  • 개인(or 사회)이 어떤 행동이나 결과를 더 선호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호프스테드의 문화적 가치 모형

  호프스테드의 문화적 가치 모델이란 문화권마다 지닌 가치관을 표현하기 위한 각 문화권의 공통적인 문화요소에 대한 연구이다. 여기서는 각 국가의 문화를 나타내기 위해 5가지 다른 요소를 도출하였다. 즉 문화권마다 가치관이 다르다는 뜻이다.

개인주의 vs 집단주의

fig 1. 국가별 개인/집단주의 비교

  개인주의는 집단 구성원으로서의 활동보다 개인으로서의 활동을 선호하고, 개인의 권리를 집단의 권리보다 우선시 하는 정도가 큰 것이다. 개인주의의 정도에 따라 갈등해결 방식과 팀웍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다.

fig 2

  fig 2에서는 개별/느슨한 그룹/밀접한 그룹 별로 개인주의자/집단주의자들의 성과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개인주의자들은 그룹정도가 개인에 가까울 때, 집단주의자들은 그룹정도가 밀접할 때 더 높은 성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권력거리

fig 3. 국가별 권력거리 비교

  권력거리는 권력의 불평등한 분배를 받아들이는 정도이다. 즉 권력거리가 크다면, 상사-부하관계처럼 수직적인 관계가 극화되고, 작다면 상사-부하간 상호의존을 선호하게 된다.

불확실성 회피

fig 4. 국가별 불확실성 회피 비교

 불확실성 회피는 비구조적 상태보다 구조적 상태를 선호하는 정도이다. 불확실성과 모호함에 대한 불안감의 정도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불확실성 회피 정도에 따라 조직변화에 대한 반응, 업무의 구조화/지시 방식에 대한 반응이 달라질 수 있다.

문화적 가치 vs 개인적 가치

  개인적 가치란 사람들의 삶에서 주도적 원리로 작동하는 바람직한 목표이다. 문화적 가치는 사회 집단이 선하고 바르며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에 관해 공유하는 추상적 목표이다.


참고자료

  • George, M. J. & Jones, G. R. (2012), Understanding and Managing Organizational Behavior (6th Edition), Pearson Education Co. (한글판 제목: “조직행동론”)
  • HBP case study: “Teamwork Turnmoil”, “Thomas Green"
  • Robbins, S. P. & Judge, T. A. (2015), 조직행동론, 한티미디어.

'부전공 > 조직행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각과 귀인  (0) 2022.10.17
정서  (0) 2022.10.16
개인차: 성격  (0) 2022.10.16
개인차: 태도  (1) 2022.10.14
Intro  (0) 2022.10.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