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전공/회계학원론

회계순환과정 2

by sepang 2022. 3. 24.

  이 글에서는 저번 글에서 배웠던 회계순환과정을 예시를 통해 이해하여 볼 것이다.

분개

fig 1
fig 2. 분개의 원리

  삼진주식회사에서 발생한 거래 내용을 fig 1에서 확인할 수 있다.우선 1)~9)까지의 거래를 분개의 원리에 따라 분석해보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분개장에 기록되어야 할 것이다.

  • 1)에서는 자본금을 마련하여 현금 10,000원을 마련했으므로 차변에는 현금(자산 증가) 10,000이 적히고, 대변에는 자본금(자본 증가) 10,000원이 적힐 것이다.
  • 2)에서는 현금 5,000원을 소비하여 건물을 구입하였으므로 차변에는 건물(자산 증가) 5,000원이 적히고, 대변에는 현금(자산 감소) 5,000이 적힐 것이다.
  • 3)에서는 대출을 통해 현금 8,000원을 마련했으므로 차변에는 현금(자산 증가) 8,000원이 적히고, 대변에는 차입금(부채 증가) 8,000원이 적힐 것이다.
  • 4)에서는 3,000원의 현금과 2,000원의 외상으로 5,000원짜리 상품을 구입했으므로, 차변에는 상품(자산 증가) 5,000원, 대변에는 현금(비용 증가) 3,000원과 매입채무(채무 증가)가 적힌다.
  • 5)에서는 4,000원의 상품을 8,500(현금 5,500원+매출채권 3,000원)원에 판매했으므로 차변에는 매출채권(자산 증가) 3,000원, 현금(자산 증가) 5,500원, 매출원가(비용 증가) 4,000원이 적히고, 대변에는 매출(수익 증가) 8,500, 상품(자산 감소) 4,000원이 적힌다.
  • 6)에서는 급여로 1,500원을 사용했기에 차변에는 급여(비용 증가)1,500원, 대변에는 현금(자산 감소) 1,500원이 적힌다.
  • 7)에서는 480원의 이자비용을 지불했기 때문에 차변에는 이자비용(비용 증가) 480원, 대변에는 현금(자산 감소) 480원이 적힌다.
  • 8)에서는 임대료 240원을 미리 받았기 때문에 차변에는 현금(자산 증가) 240원, 대변에는 선수임대료(부채 증가, 부채인 이유는 저번 글에서 설명) 240원이 적힌다.
  • 9)에서는 보험료를 미리 납부하였기 때문에 차변에는 선급보험료(자산 증가) 180원, 대변에는 현금(자산 감소) 180원이 적힌다.

 

전기

fig 3

 

fig 4

  그 다음 fig 3처럼 분개장에 기록된 정보를 원장에 기록해야 한다.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 뒤 원장에 기록되는 사항들은 fig 4와 같다.

 

수정전시산표

  이후 수정전시산표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fig 5

  이처럼 원장의 각 계정과목들의 잔액을 차변과 대변으로 구분하여 나열한 뒤 차변합계와 대변합계가 같은지를 확인함으로써 이전의 분개와 전기과정에서 오류가 있었는지 검증한다.

 

수정분개

  회계기말에는 내부적 거래에 대한 분개를 진행해야 한다. 이번 예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부적 거래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0)~15)의 거래를 파악해보자.

fig 6

  • 10) 감가상각비 500원이 발생했으므로 차변에는 감가상각비(비용 증가) 500원, 대변에는 감가상각누계액 500원이 적힌다.
  • 11) 80원을 회수불능으로 추정하였으므로 대손상각비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차변에는 대손상각비(비용 증가) 80원, 대변에는 대손충당금 80원이 적힌다.
  • 12) 8/1 ~ 12/31일까지 400원의 이자비용이 발생하였다. 400원을 현금으로 지급하지는 않았으나 1/31에 지금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변에는 이자비용(비용 증가) 400원, 대변에는 미지급이자(부채 증가) 400원이 적힌다.
  • 13) 9/1 ~ 12/31, 4개월동안 임대를 해주었기에 차변에는 선수임대료(부채 감소) 160원, 대변에는 임대료(수익 증가) 160원이 적힌다.
  • 14) 11/1 ~ 12/31, 보험료를 지불한지 2개월이 지났으므로, 차변에는 보험료(비용 증가) 30원, 대변에는 선급보험료(자산 감소) 30원이 적힌다.
  • 15) 차변에는 법인세 비용 201원, 대변에는 미지급법인세 201원이 적힌다.

  원장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된다.

fig 7

 

수정후시산표 작성

  수정분개 이후 전기를 진행한 뒤 수정후시산표를 작성하여 수정분개와 전기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는지 검증한다.

fig 8

  

손익계산서 작성

  수정후시산표에서 손익계산서의 항목(수익, 비용)들의 계정잔액들을 이용하여 손익계산서를 작성할 수 있다.

fig 9

 

마감분개

  마감은 계정의 잔액을 마감분개를 통해 0으로 만드는 것이다. 마감분개는 수익계정을 마감하고, 비용계정을 마감하고, 집합손익계정을 마감하는 절차를 거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회계기간동안의 경영성과를 보이고, 다음기가 시작될 때는 다시 수익과 비용이 0부터 시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마감분개가 마무리되면 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은 재무상태표의 이익잉여금으로 누적되어 자본계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듯 손익계산서를 재무상태표와 연계시키는 과정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fig 10
fig 11. 마감된 손익계산서 계정
fig 12. 추가된 재무상태표 계정

 

마감후시산표, 재무상태표의 작성

fig 13. 마감후시산표
fig 14. 재무상태표

  만약 삼진주식회사가 제1회계연도말에 현금배당을 120원 지급했다면 재무상태표의 상태도 생각해보자. 현금배당은 기업에 누적된 유보이익, 즉 이익잉여금이 있을 때만 가능하며, 이익잉여금의 감소와 현금의 감소를 동시에 가져온다. 이에 대해 분개해보면 차변에는 이익잉여금(자본 감소) 120원, 대변에는 현금(자산 감소) 120원이 적힌다. 때문에 이를 적용한 재무상태표는 다음과 같다.

fig 15. 재무상태표(현금배당 적용)

 


참고 자료

  • 회계학원론 (제3판), 김병조·김호중·한봉희, 창민사

'부전공 > 회계학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별 회계처리:현금 및 현금성자산과 단기금융자산  (0) 2022.04.14
재무제표  (0) 2022.03.28
회계순환과정 1  (0) 2022.03.23
복식부기시스템과 세부적 고찰  (0) 2022.03.16
회계의 소개  (0) 2022.03.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