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전공/조직행위론

조직문화

by sepang 2022. 12. 22.

조직문화의 개념과 구성요소

  조직문화란 개인과 집단, 그리고 조직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주는 공유된 가치와 규범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리하면 조직원들이 서로에게, 그리고 외부의 사람들에 대하여 행동하고 생각하고 느끼는 방식에 영향을 주는 조직원들이 공유하는 일련의 가치, 신념, 규범이다.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3수준 이론

fig 1

인공물

  물리적인 수준의, 듣고 보고 느끼고 만질 수 있는 조직문화이다. 조직의 특성이 매우 분명히 드러나는 인공물 혹은 조직원들의 행동인데 왜 구성원들이 그렇게 행동하고, 왜 조직은 그렇게 구성되어 있는지 등의 숨은 의미는 드러나지 않는다.

옹호된 가치

  그들이 하는 일을 왜 하는지 설명하는 조직의 가치 체계이다. 교육용 자료, 웹사이트, 결재문서, 팜플렛 등 문서자료의 형태로 종종 나타난다. 

기저의 전제

  겉으로 드러나는 것보다 더 심층적인 수준의 생각과 신념이다. 행동에 대한 더 중요한 결정 인자며 타협 불가능하고 너무 당연하게 여겨져서 언급되거나 의식적으로 생각되는 일조차 흔치 않다. 이런 기저의 전제는 다음을 바탕으로 한다.

  • 외적 생존이슈: 어떻게 경쟁에서 이기고 생존할 것인가?
  • 내적 통합이슈: 어떻게 내부 구성원들을 통합할 것인가?
  • 더욱 심층적인 가치들: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어떤 것이 윤리적이고 무엇이 비윤리적인 것인가?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등

조직문화의 빙산모형

fig 2

  fig 2는 조직문화의 빙산모형에 대한 것이다. 인공물이나 옹호된 가치는 외부에 드러나는 부분,  기저의 전제는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하여  드러나지는 않지만 조직 내 사람들의 행동에 반영되어 나타나는 것이라고 보면 되겠다.

 

조직문화의 형성

  조직문화는 창업자의 가치관에 따라 특정한 행동을 선호하는 이념이 형성되기도 하고, 산업/업종/제품의 특성도 영향을 준다. 

 

조직문화의 유지

  • 최고 경영진
  • 슈나이더의 ASA 모델: 개인은 자신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조직에 끌리며(유인), 조직은 기존 구성원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인원을 선택한다(선발). 그리고 구성원이 조직의 다른 특성 때문에 적응하지 못하면 떠난다(소멸).
  • 사회화: 조직에 참여하기 위하여 필요한 규범, 관례, 기술, 이데올로기 등을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하고 체화하는 과정이다.

 

조직문화의 기능

순기능

  • 구성원들에게 정체성을 제공한다.
  • 구성원들의 조직 몰입을 촉진한다.
  • 조직체계의 안정성을 높인다.
  • 구성원들의 태도,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고 조절한다.

역기능

  • 변화에 대한 장벽
  • 다양성에 대한 장벽

성공적 조직문화의 특징

  • 일관성: 핵심가치가 강하게 유지되고 널리 인정된다.
  • 적응성: 변화를 알아차리고 대응하는 능력
  • 구성원 참여: 의사결정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참여
  • 분명한 비전: 사업의 목적이나 기존 이유를 강조하기

 

조직 윤리

  조직 윤리는 조직의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또한 외부의 사회구성원들에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그 방식을 규정하는 도덕적 가치, 신념, 원칙 체계이다.

조직 윤리의 중요성

  우선 외적인 효과로는 윤리적 조직문화가 활성화 되면 이는 소비자의 신뢰를 얻게 되고 이를 통해 매출이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내적 효과로는 종업원에 무분별한 개인 이익 추구행위에 대한 통제 및 규제를 하게 되므로 공공재의 비극을 방지하고 심리적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왜 사람들은 비윤리적인 행위를 하는가?

  윤리적 행위가 좋은 것이 당연함에도 비윤리적 행위를 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조건적인 개인이익을 추구하거나 외부의 압력이 있을 때 비윤리적 행위를 할 수 있다. 또한 윤리관에 있어서 착오가 있을 때도 비윤리적 행위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비윤리적 행위를 줄이고 윤리적 조직문화를 함양하기 위해 윤리적 행위를 보상하고 비윤리적 행위를 처벌해야한다. 또한 조직구조를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인센티브가 줄어들도록 설계하고 공정하고 공평한 인사제도를 설계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 외에도 비윤리적 행위에 대해 고발(내부 고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한다. 또한 권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최고 경영진과 독립적인 사외 이사를 두고 조직을 감시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외부 기관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 George, M. J. & Jones, G. R. (2012), Understanding and Managing Organizational Behavior (6th Edition), Pearson Education Co. (한글판 제목: “조직행동론”)
  • HBP case study: “Teamwork Turnmoil”, “Thomas Green"
  • Robbins, S. P. & Judge, T. A. (2015), 조직행동론, 한티미디어.

'부전공 > 조직행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변화 관리  (0) 2022.12.22
조직구조  (0) 2022.12.22
갈등/협상, 권력/정치  (0) 2022.12.21
리더십  (0) 2022.12.21
집단 의사결정  (0) 2022.12.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