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전공/조직행위론

집단 의사결정

by sepang 2022. 12. 21.

집단 의사결정의 장단점

집단 의사결정의 장점 집단 의사결정의 단점
폭넓은 정보, 지식 활용 가능 시간이 오래 소요됨
다양한 관점의 포용 집단 내의 동조
창의성 촉진 일부 구성원이 토론 주도
'일반적으로' 더 정확한 결과 책임 소재 불분명
결정 결과에 대한 수용 증가  

 

집단 의사결정의 여러가지 오류

공유정보 편향

  Hidden profile paradigm은 집단 구성원들이 모두 공유하는 정보와 개별 구성원이 각자 갖고 있는 개별 정보가 있는데, 개별 정보를 공유해야만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이런 상황에서 공유된 정보를 더 많이 언급하여 최적의 의사결정에 실패하는 경향을 공유정보 편향이라고 한다.

집단양극화

fig 1

  집단양극화(=집단이동)은 집단토론 이후에 구성원들이 집단토론 이전에 가지고 있던 개인적인 견해보다 더 극단적인 쪽으로 의사결정을 하게 되는 것이다.

사회영향

  사회영향은 개인 간, 집단 간에서 한 편이 다른 편의 행동, 태도, 감정 등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다수의 영향과 소수의 영향으로 나눌 수 있는데, 다수 영향은 집단의 대부분이 집단 내 구성원들에게 가하는 사회적인 압력이고 소수 영향은 소수 그룹의 생각을 채택하도록 다수의 태도나 신념을 바꾸는 것이다.

집단사고

fig 2. 집단사고의 병리

  집단사고는 위의 다수의 영향과 유사하게 의사결정을 하는 집단이 만장일치를 이루려는 욕구 때문에 제한된 몇가지 대안만을 검토하고 충분한 토의를 거치지 않음으로써 효과적 의사결정에 실패하는 현상이다. 집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다음이 있다.

  • 분위기 조성: 만장일치에 대한 환상 타파, 자유로운 회의 분위기 조성, 공정한 리더십
  • 싸움닭 활용: '악마의 대변인'이라고도 하는데 모든 의견에 대해 반대만 하는 사람이다. 반대 의견을 내기 더 쉬운 환경을 조성해준다.
  • 소수의견 공유 제도
  • 리더 없는 회의
  • 소그룹 토의
  • 외부자 활용

 

창의성

  효과적인 집단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리더십이나 건설적인 갈등도 중요하지만 창의성도 큰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집단 창의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브레인스토밍을 활용할 수도 있고, 구성원들의 심리적 안전도 충족해야 한다. 심리전 안전은 자신의 의견을 편하게 말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것이다. 즉 심리적 안전이 충족되면 구성원들은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자료

  • George, M. J. & Jones, G. R. (2012), Understanding and Managing Organizational Behavior (6th Edition), Pearson Education Co. (한글판 제목: “조직행동론”)
  • HBP case study: “Teamwork Turnmoil”, “Thomas Green"
  • Robbins, S. P. & Judge, T. A. (2015), 조직행동론, 한티미디어.

'부전공 > 조직행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등/협상, 권력/정치  (0) 2022.12.21
리더십  (0) 2022.12.21
집단과 팀  (0) 2022.12.21
동기부여  (0) 2022.10.17
학습  (0) 2022.10.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