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96

조직문화 조직문화의 개념과 구성요소 조직문화란 개인과 집단, 그리고 조직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주는 공유된 가치와 규범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리하면 조직원들이 서로에게, 그리고 외부의 사람들에 대하여 행동하고 생각하고 느끼는 방식에 영향을 주는 조직원들이 공유하는 일련의 가치, 신념, 규범이다.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3수준 이론 인공물 물리적인 수준의, 듣고 보고 느끼고 만질 수 있는 조직문화이다. 조직의 특성이 매우 분명히 드러나는 인공물 혹은 조직원들의 행동인데 왜 구성원들이 그렇게 행동하고, 왜 조직은 그렇게 구성되어 있는지 등의 숨은 의미는 드러나지 않는다. 옹호된 가치 그들이 하는 일을 왜 하는지 설명하는 조직의 가치 체계이다. 교육용 자료, 웹사이트, 결재문서, 팜플렛 등 문서자료의 형태로 종종 나타.. 2022. 12. 22.
갈등/협상, 권력/정치 갈등 갈등은 한 사람이 자신이 소중히 여기는 어떤 것에 대해 다른 사람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거나 미칠 것이라고 인식할 때 시작되는 과정이다. Pondy는 갈등의 5가지 단계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잠재된 갈등 인지된 갈등 느껴진 갈등 분명한 갈등 갈등의 결과 갈등의 원인 갈등은 개인적, 업무상, 조직상의 요인들이 원인이 된다. 갈등의 유형 과업 갈등: 일의 내용, 목표, 방식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갈등 관계 갈등: 인간관계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감정적 갈등 과업갈등의 경우에는 꼭 나쁘다고 볼 수는 없다. 갈등을 겪으면서 팀 의사결정의 수준을 높이기 때문이다. 반면 관계갈등은 갈등이 심화될수록 팀 성과에도 점점 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현실은 이렇게 단순하게 동작하지는 않을 것이기에 좀 더.. 2022. 12. 21.
리더십 리더십의 개념 리더십은 비전과 목표를 제시하고 구성원들을 이끌어가는 힘이다. 이러한 의미때문에 리더와 관리자의 차이에 대해 궁금할 수도 있는데, 리더는 조직문화 확립과 방향 및 목표, 전략설정 등을 통해 기업이 나아갈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고, 관리자는 리더의 가치관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법하고 효율적인 절차를 통해 직무를 수행한다고 보면 된다. 리더십에 대한 전통적 접근법 특성적 접근 뛰어난 리더와 그렇지 않은 리더는 성격, 인지능력, 감성지능 등 '타고난 특성이 다르다'라는 접근이다. 하지만 특성이 리더십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나, 리더로서의 효과성보다는 리더의 출현을 더 잘 예측한다는 반론이 있다. 행동적 접근 리더는 그들이 보여주는 행동을 통해 사람들에게 영향을 준다는 .. 2022. 12. 21.
집단 의사결정 집단 의사결정의 장단점 집단 의사결정의 장점 집단 의사결정의 단점 폭넓은 정보, 지식 활용 가능 시간이 오래 소요됨 다양한 관점의 포용 집단 내의 동조 창의성 촉진 일부 구성원이 토론 주도 '일반적으로' 더 정확한 결과 책임 소재 불분명 결정 결과에 대한 수용 증가 집단 의사결정의 여러가지 오류 공유정보 편향 Hidden profile paradigm은 집단 구성원들이 모두 공유하는 정보와 개별 구성원이 각자 갖고 있는 개별 정보가 있는데, 개별 정보를 공유해야만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이런 상황에서 공유된 정보를 더 많이 언급하여 최적의 의사결정에 실패하는 경향을 공유정보 편향이라고 한다. 집단양극화 집단양극화(=집단이동)은 집단토론 이후에 구성원들이 집단토론 이전에 가지고 .. 2022.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