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계대수1 관계대수(Relational Algebra) 이전 글에서도 말했듯이 테이블 집합에 대한 쿼리(질의)는 결과로 relation(table)을 반환한다. 여기서는 관계 대수를 사용하여 각 쿼리를 표현할 것이다. 관계대수는 어떻게 쿼리를 수행할 것인가를 명시하는 절차적 언어이다. 이것은 SQL의 이론적 기초이다. 이 글에서도 이전 처럼 대학 원서 제출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바탕으로 진행한다. Query Simplest query 가장 간단한 쿼리는 테이블 자체를 가져오는 쿼리이다. 표현도 단순하게 테이블 이름만 적으면 된다. 'Student'는 Studnet 테이블 자체를 가져오는 쿼리인 것이다. 여기에 연산자(operator)를 사용하여 필터링, 자르기, 병합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Select operator 우선 특정 rows를 선택하.. 2022. 9.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