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96

Introduction: 알고리즘에 대해 이번 학기에 알고리즘 과목을 수강하게 되었다. 취업할 때 코테같은걸 하려면 알고리즘을 알아야 한다고 하는데 '아직 2학년인데 이걸 들어도 되나?' 라는 생각을 지금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전필이기도 하고 아직 뭘 들어야할지 몰라서 수강을 하게 되었다. 수업 소개를 들어보니 코테처럼 문제를 풀기위해 알고리즘을 배운다기 보다는 알고리즘 자체에 중점을 둔 것 같았다. 수업내용을 나름대로 정리해서 올리기로 마음먹었으니 한 번 시작해보도록 하자. (원어 강의이기도 하고 나도 영어표현에 익숙해져야 한다고 생각해서 영어를 자주 섞을 생각이다.) 이 카테코리의 게시글들은 아주대학교 Sinshaw Yenewondim Biadgie 교수님의 '알고리즘' 수업을 바탕으로 한다 웬만한 수업의 첫시간은 수업 주제에 대한 소개이.. 2021. 9. 6.
vi editor 초급 이번에 알아볼건 vi editor이다. 텍스트 에디터의 한 종류인데 우리가 흔히 쓰는 메모장도 텍스트 에디터의 한 종류이다. vi editor는 리눅스를 비롯한 unix 계열 os에서 많이 사용되는 텍스트 에디터이다. 처음 든 생각은 '그러면 메모장이랑 비슷한거 아닌가? 이거를 따로 학습할 필요가 있나?'였다. 그런데 사용법도 차이가 있고 기능도 굉장히 많아 학습 난이도가 꽤 있는편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번에는 vi editor를 처음 다룰때 알아야할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 학습해보았다. 사용할 vi editor는 vim이다. 'vi improved'의 줄임말이다. 윈도우에서 편하게 실습하기 위해 https://www.vim.org/ 에서 windows용 vim을 다운로드 받았다. vim 모드의 이해 우선.. 2021. 9. 3.
리눅스 명령어 기초 4 - bash 명령어, bash redirection, pipe 들어가기 전 명령어를 입력하면 해당 명령어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명령어 인터프리터(interpeter), 즉 셸이 필요하다. 우리가 사용하는 셸은 'bash'라고 한다. 이전에도 설명했다시피 터미널이 기계에 접속되면 셸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이후에 프롬프트 창을 띄우는데 앞에서도 지겹게 봤던 검은 창이다. 표준 입출력 지금까지 우리는 당연하듯이 키보드로 명령어를 입력하고 해당 결과를 프롬프트 창으로 확인했다. 이렇듯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입출력 device를 standard input/output이라고 한다. 즉 셸에서는 표준 입력인 키보드 입력으로 명령을 받아서 이를 처리한 후에 표준 출력인 프롬프트 창으로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다. history . . . 84 (sleep 500; echo "1st j.. 2021. 9. 2.
리눅스 명령어 기초 3 - 작업/프로세스 관련 명령 위 사진은 리눅스 커널의 구조이다. 이전까지 우리는 주로 파일 시스템에 관련한 명령어들을 살펴봤다. 이번에는 프로세스 관리(Process management)에 대한 명령어를 살펴보자. echo sepang@ubuntu:~$ echo hello hello 인수로 입력한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한다. 이거 왜 쓰는거지??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셸 스크립트 상에서 자주 쓰인다고 하는데 c언어의 printf()와 비슷한 용도라고 생각하자. sleep (시간) sepang@ubuntu:~$ sleep 3; echo 3sec 3sec (시간)에는 그냥 숫자(초)가 들어갈수도 있고 숫자뒤에 s(초), m(분), h(시간) 등이 붙여질수도 있다. 해당 시간 동안 프로그램을 일시정지한다. 명령문을 적을 때 ';'로 명령.. 2021. 9.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