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96

관계대수(Relational Algebra) 이전 글에서도 말했듯이 테이블 집합에 대한 쿼리(질의)는 결과로 relation(table)을 반환한다. 여기서는 관계 대수를 사용하여 각 쿼리를 표현할 것이다. 관계대수는 어떻게 쿼리를 수행할 것인가를 명시하는 절차적 언어이다. 이것은 SQL의 이론적 기초이다. 이 글에서도 이전 처럼 대학 원서 제출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바탕으로 진행한다. Query Simplest query 가장 간단한 쿼리는 테이블 자체를 가져오는 쿼리이다. 표현도 단순하게 테이블 이름만 적으면 된다. 'Student'는 Studnet 테이블 자체를 가져오는 쿼리인 것이다. 여기에 연산자(operator)를 사용하여 필터링, 자르기, 병합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Select operator 우선 특정 rows를 선택하.. 2022. 9. 14.
관계 모델(Relational Model) 이 카테고리의 글 들은 아주대학교 변광준 교수님의 '데이터베이스' 수업을 수강하고 복습 겸 정리하는 글이다. 이 수업은 관계형 DB에 대해 다루게 된다. 첫 시간은 관계형 모델에 대한 내용이다. 우선 관계형 모델은 대부분의 주요 사용 DB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간단한 형태의 모델을 가지며 고급 언어를 이용한 단순한 쿼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DB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관계형 모델의 구성 그럼 관계형 모델이 어떤 구조로 구성이 되는지 알아보자. 유의어가 많아서 생각보다 헷갈린다. Scehma: 스키마란 데이터베이스의 관계에 대한 구조적 설명이다. fig 1을 보면 Student 테이블의 스키마는 id, name, GPA, photo이고, College 테이블의 스키마는 name, state, enr이.. 2022. 9. 12.
[Spring Boot, Spring Security, Data JPA] 로그인/로그아웃 1 저번에는 회원가입을 해보았으니 이번에는 로그인을 할 차례이다. 여기서는 spring security를 사용하는데, 생각보다 매우 복잡하고 깊게 파기에는 시간이 오래걸릴 것 같아서 대략적인 흐름만 파악하고 구현을 시작해봤다. 그리고 이 기능을 구현을 할 때, 마지막 참고자료에 적힌 분의 포스팅이 매우 큰 도움이 되었다. jwt와 spring security의 흐름을 잡기 좋았다. Session? JWT? 이번에 스프링을 배울 때, 인프런에서 김영한 님의 스프링 로드맵 중 일부를 들었는데 이때의 로그인은 쿠키&세션을 이용했었다. 그래서 프로젝트에서도 이걸 응용하면 되겠지라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우리 팀은 자체 로그인과 소셜 로그인 두 개를 모두 사용하려고 하는데, 소셜 로그인은 jwt를 이용하여 로그인이 수.. 2022. 9. 10.
[Spring, Data JPA] 회원가입 이전까지는 혼자서 간단한 수준의 프로젝트를 따라만 했었다. 이제는 직접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구현해봐야 겠다고 생각했고, 다행이 기회가 되어 학교에서 지원금을 받고 진행하는 프로젝트 과목에 팀을 꾸려서 참여하게 되었다. 나는 백엔드 역할을 담당한다. spring boot, jpa(spring data jpa)를 통해 서버를 구축하고 아마존 EC2/RDS를 통해 직접 배포하고 운영까지 짧게 해볼 생각이다.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대학 상권 가게들의 할인 이벤트 등을 지도 api에 시각화, 그리고 가게별 제휴 이벤트 구성을 위한 게시판 및 채팅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을 우선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7월부터 스프링 공부를 시작하고 프로젝트를 조금씩 진행하였지만 게으름 때문에 이제야 처음부터 조금씩 개발기록들을 써내려.. 2022. 9. 2.
반응형